반응형

조선 왕들의 업적 (조선전기)

조선 역대 왕들을 암기 할때 쓰는 방법인

태정태세문단세 예성연중인명선 .....

 

처음 '태'태조 이성계를 의미하고,

세번째 '태'는 태종 이방원 그다음 '세'

그 유명한 왕인 '세종'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임진왜란(1592년) 전까지인

조선전기의 왕들의 주요 업적에 대해 알아봅시다.

 

 

 

 

태조 이성계

 

조선을 건국한 태조왕으로서 1388년

위화도회군을 통해 실권을 장악하고,

조선을 건국(1392년) 하여 왕의 자리에 오릅니다.

태조는 조선을 세운뒤 경복궁을 세웁니다.

그리고 현재 역대 조선 왕들의 신주를 모시는 종묘

제사를 지내는 사직을 세웠습니다.

태조는 또한 과전법을 실시하여 건국 공신들의 경제적

기반을 다졌습니다.

 

 

 

 

 

태종 이방원

 

두 차례 왕자의 난에서 권력을 장악한

태종은 사병을 폐지시켜 일부세력을 견제하였고

정책집행을 담당하는 이,호,예,병,형,공의 6개 부처를

왕인 본인에게 직접 보고하는 6조 직계제를 채택하여

왕권을 강화했습니다. 이외에도 지금의 토지측량조사인

양전사업, 인구조사라 할 수 있는 호구조사 지금으로 치면

주민등록증을 발급받게 하는 호패법을 실시했습니다.

 

 

 

 

 

 

세종 이도

 

우리 역사상 최고의 성군이라 일컫는 세종,

한글도 창제하고,선왕이 실시했던 6조 직계제 보다는

재상을 거쳐 왕에게 보고하는 의정부 서사제를 시행하여

왕권과 신권의 조화를 이뤘습니다.

이외에도 학자들이 연구하는 집현전을 설치,

앙부일구, 자격루와 측우기 등의 발명

조선풍토에 맞는 농사직설 편찬

대마도를 정벌하는 등의 다양한 업적을 세웠습니다.

 

 

 

 

세조 이유

 

조카를 몰아낸 계유정난을 통해 왕위에 오른 세조는

자신의 아버지 세종이 시행한 의정부 서사제를 폐지하고

다시 6조 직계제를 시행하여 왕권을 강화합니다.

또한 집현전과 경연을 폐지합니다.

이외에 나라의 법이 필요하다 하여 경국대전을 세조때부터

편찬하기 시작합니다.

 

 

 

 

성종 이혈

조선의 제 9대 왕으로 세조의 손자입니다.

성종때 할아버지때부터 편찬하던 경국대전완성하여

반포, 통치체제를 확립합니다.

또한 세종의 집현전을 계승하는 홍문관을 설치하고

다시 왕과 신하가 함께 공부하는 경연을 실시합니다.

 

 

 

 

 

 

 

 

 

 

 

 

 

다음 글에서는 조선 후기 왕들의 업적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공부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갑신정변의 배경과 영향  (0) 2018.09.17
조선 왕들의 업적(후기)  (0) 2018.08.22
조선시대 이야기 -조선의 건국-  (0) 2018.08.17
고려시대 이야기  (0) 2018.08.14
남북국시대(통일신라)  (0) 2018.08.13
반응형


조선의 건국

태정태세문단세 예성연중인명선 광인효현숙경영 정순헌철고순,

 조선 왕조의 시작





조선의 건국에 얽힌 이야기

고려시대 말 신흥무인세력이였던 이성계가 위화도 회군을 하고 난 뒤
1392년 부터 조선왕조 500년이 시작됩니다.

우리에게 가장 가까운 시대 중 하나이자, 친근한 시대이기도 한
이 조선시대 건국에 얽힌 이야기에 대해 알아봅시다.




조선 건국과 관련하여 재미있는 이야기가 하나 있습니다.

이런들 또 어떠하여 저런들 또 어떠하리
만수산의 드렁칡이 얽혀진들 어떠하리
우리도 이같이 얽혀져 백년까지 누리고져
<하여가> -이방원-





""이몸이 죽고죽어

일백번 고쳐죽어

백골이 진토되어

넋이라도 있고 없고

임 향한 일편단심이야

가실줄이 있으랴""

<단심가> -이방원





태종 이방원은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아들입니다.

그는 아버지를 도와 조선건국에 큰 공을 세웠습니다.


이에 반해 고려 말의 학자였던 정몽주는

새로운 나라 조선을 건국하기 보다 고려라는 나라가

계속되기를 바랬습니다.



<단심가>를 지은이유도 그러한 이유때문입니다.


조선으로 할것인가! 고려로 할 것인가!

이 둘 사이의 갈등이 생겼습니다.


결국 이방원이 <하여가>를 지어 회유를 하려고 햇으나

정몽주는 단심가로 회유를 거절하며

고려에 대한 일편단심을 보여줬습니다.



이에 집으로 돌아가던 정몽주는 선죽교에서 죽임을 당합니다.





어찌보면 회유에도 넘어가지 않던 고려 말 충신 정몽주의

죽음으로 고려라는 나라는 끝을 보여주지 않았나 싶습니다.



이제 앞으로의 포스팅에서는 새로운 왕조,

조선에 대하여 면밀히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

'공부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왕들의 업적(후기)  (0) 2018.08.22
조선 왕들의 업적 (조선전기)  (0) 2018.08.20
고려시대 이야기  (0) 2018.08.14
남북국시대(통일신라)  (0) 2018.08.13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40회 중급,고급 답안  (0) 2018.08.11

+ Recent posts